태양열의 약 47%가 지표면을 통해 지하에 저장되며, 이렇게 태양열을 흡수한 땅속의 온도는 지형에 따라 다르지만, 지표면 가까운 땅속의 온도는 개략 10~20℃ 정도 유지해 열펌프를 이용하는 냉난방시스템에 이용됩니다. 우리나라 일부지역의 심부(지중 1~2km) 지중온도는 80℃정도로서 직접 냉난방에 이용가능합니다.
개방형(SCW : Standing Column Well)방식 |
-지 중 깊이 500m 정도까지 지층을 천공한 후, 나공 상태의 재열공에 수중펌프를 설치하고 지하수를 순환시켜, 이를 통해 지열을 이송하는 방법입니다. - 동절기 : 대기온도보다 높은 지하수의 열을 뽑아내서 난방에 이용(지하수를 순환) - 하절기 : 대기온도보다 낮은 지하수의 열을 뽑아내서 냉방에 이용(지하수를 순환) |
---|---|
수직밀폐형 | - 지중열교환기는 지층을 150~200m정도 천공하고, 나공 상태의 지열공에 열교환기 파이프 설치와 공메움을 실시한 후, 열교환기 파이프를 통해 유체를 순환시켜 지열을 이송하는 방법입니다. |
개방형(SCW) | 수직밀폐형 | 수평밀폐형 | |
---|---|---|---|
원리 | 지하수를 순환시킴 | 부동액을 순환시킴 | 부동액을 순환시킴 |
지중열을 교환하는 방식 | 지중열을 교환하는 방식 | 지중열을 교환하는 방식 | |
굴착깊이 | 500m | 150~200m | 트랜치깊이 1.8내지 3.6m |
장점 |
-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고 운전 기술이 비교적 간단합니다. - 공해물질 배출이 없습니다. - 장비의 유지비 이외에 다른 비용은 들지않아 구동비용이 매우 저렴합니다. -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청정에너지입니다. - 지구의 냉각속도는 매우 느려 맨틀의 경우 30억년간 300~350℃낮아지는 정도이므로 반영구적인 에너지라 할 수 있습니다. |
---|---|
단점 |
- 다시 보충할 수 없어 재생불가능한 에너지입니다. - 땅의 침전이 있을 수 있으며 지중상황 파악이 곤란합니다. |
년도 | ~2009 | 2010 | 2011 | 2012 | 2013 | 2014 | 2015 | 2016 | 계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주택수 | 292 | 1,411 | 923 | 1,320 | 1,875 | 1,961 | 1,758 | 1,470 | 11,010 |